안녕하십니까?
우리시 교육청에서는 2013년도 교육비특별회계 예산편성에 교육수요자, 광주시민들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 반영하여, 광주교육의 만족도를 높이고 예산 투자방향 및 우선순위에 따른 예산의 적정배분 등 효율적인 교육재정 운영자료로 삼고자 합니다.
귀하께서 평소 느끼시고 생각하시던 사항을 진솔하게 답해주시기 바라며 제시해주신 의견은 광주교육 예산편성에 소중히 활용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는 필수입력사항입니다.
문항 1)
2013년도 광주교육청이 예산 편성시에 가장 우선하여 예산투입이 되어야 할 분야는 무엇이라 생각하십니까? (3개 선택 가능)(다중선택)
(총투표수: 86표)
1.
교육격차 해소(학생복지지원)
17표
20%
2.
학교혁신
4표
5%
3.
교수학습개선 및 학력신장
10표
12%
4.
영재교육 및 외국어 교육분야
3표
3%
5.
과학 및 정보화 활용 교육 분야
7표
8%
6.
학교폭력예방 및 학생안전강화 분야
25표
29%
7.
특수 및 유아교육 지원
2표
2%
8.
보건․급식 및 체육활동분야
10표
12%
9.
평생교육 및 직업교육분야
3표
3%
10.
학교교육여건개선분야(시설확충․보수)
5표
6%
문항 2)
학생들의 학력신장을 위해 강화되어야 할 사업은 무엇이라 생각하십니까?
(총투표수: 32표)
1.
기초학습 부진학생 특별보충지도
2표
6%
2.
교실수업개선 등 교원역량 강화
22표
69%
3.
학습준비물 지원 확대
6표
19%
4.
수준별 이동 수업 내실화
0표
0%
5.
온라인 학습체제 구축
2표
6%
문항 3)
단위학교 교육활동 중 강화되어야 할 분야는 무엇이라 생각하십니까?(2개선택가능)(다중선택)
(총투표수: 63표)
1.
인성교육
24표
38%
2.
외국어교육
5표
8%
3.
독서토론논술교육
15표
24%
4.
과학․영재교육
5표
8%
5.
문화예술교육
8표
13%
6.
체육교육
5표
8%
7.
정보화 교육
1표
2%
문항 4)
계층간 교육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중점 지원되어야 할 분야는 무엇이라 생각하십니까?(2개선택가능)(다중선택)
(총투표수: 63표)
1.
학비(수업료, 입학금)지원
13표
21%
2.
학교급식비 지원
5표
8%
3.
인터넷통신비 등 정보화교육비 지원
1표
2%
4.
방과후학교 자유수강권 등 방과후활동비 지원
20표
32%
5.
교육복지투자 지원
9표
14%
6.
다문화가정 지원
1표
2%
7.
체험학습, 수련활동비 지원
14표
22%
문항 5)
각급학교 수익자부담 교육활동 경비 중 교육청의 지원이 가장 필요한 경비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총투표수: 32표)
1.
수학여행비
15표
47%
2.
수련활동비
2표
6%
3.
현장체험학습비
14표
44%
4.
졸업앨범비
1표
3%
문항 6)
유치원 교육의 진흥을 위하여 강화되어야 할 부분은 무엇이라 생각하십니까?
(총투표수: 32표)
1.
교원의 연수강화
7표
22%
2.
유치원 교사 처우개선
2표
6%
3.
교재 교구 확충
4표
13%
4.
유아교육비 지원확대
9표
28%
5.
유치원 종일반 확대
9표
28%
6.
단설 유치원 신설 확대
1표
3%
문항 7)
특수교육 진흥을 위해 강화되어야 할 부분은 무엇이라 생각하십니까?
(총투표수: 32표)
1.
교원의 연수강화
1표
3%
2.
특수교육대상자 치료비 지원 확대
5표
16%
3.
일반학교 내 특수학급 확대 설치
4표
13%
4.
특수학생 직업교육 강화
7표
22%
5.
특수학교대상자 통학 지원
1표
3%
6.
특수학생 종일반 및 방과후 활동비 지원
12표
38%
7.
특수교육보조원 확대
2표
6%
문항 8)
안전한 학교 조성을 위해 강화되어야 할 사업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2개선택가능)(다중선택)
(총투표수: 64표)
1.
상담전문교사제 운영확대
4표
6%
2.
배움터 지킴이 및 안심 알리미 운영확대
12표
19%
3.
학교폭력예방 CCTV 설치확대
20표
31%
4.
위기학생 예방 및 치유 상담교육 등 충실
8표
13%
5.
인권 및 인성교육 강화
18표
28%
6.
대안교육 및 특별교육 지원
2표
3%
7.
학교생활지원센터(Wee center) 운영 확대
0표
0%
문항 9)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 강화되어야 할 사업은 무엇이라 생각하십니까?
(총투표수: 32표)
1.
각종 연수 확대
3표
9%
2.
교과교육연구회 및 학습동아리 활동 지원
3표
9%
3.
학업성취도 평가 방법 개선 지원
2표
6%
4.
교사 잡무 경감(보조 인력 지원 등)
24표
75%
문항 10)
각급학교 교육활동에 필요한 특별교실 중 제일 먼저 현대화되어야 할 것은 무엇이라 생각하십니까?(2개선택가능)(다중선택)
(총투표수: 56표)
1.
도서실
19표
34%
2.
과학실
13표
23%
3.
시청각실
3표
5%
4.
컴퓨터실
7표
13%
5.
강당
5표
9%
6.
보건실
2표
4%
7.
급식실
6표
11%
8.
방송실
1표
2%
문항 11)
각급학교 시설 중 여건 개선이 가장 시급한 시설은 무엇이라 생각하십니까?(2개선택가능)(다중선택)
(총투표수: 61표)
1.
화장실
13표
21%
2.
교실 환경
15표
25%
3.
체육시설
14표
23%
4.
어린이 놀이시설
5표
8%
5.
냉난방 시설
7표
11%
6.
책걸상 교체
3표
5%
7.
학생 사물함 개선
4표
7%
문항 12)
교육재정의 관심도를 알아보는 질문입니다. 귀하께서는 현재 광주교육청의 재정현황에 대하여 알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총투표수: 32표)
1.
잘 알고 있다
4표
13%
2.
조금 알고 있다
18표
56%
3.
잘 모른다
10표
31%
4.
관심없다
0표
0%
문항 13)
광주교육재정에 대해 알고 있다면 어떤 경로를 통해 알게 되었습니까?
(총투표수: 32표)
1.
홈페이지
18표
56%
2.
교육청 홍보물(교육소식지 등)
2표
6%
3.
언론매체
7표
22%
4.
기타
5표
16%
※ 시민참여예산제 : 지방자치단체가 독점적으로 행사해 왔던 예산편성과정에 일반 시민 등의 직접 참여를 보장하는 제도
문항 14)
귀하께서는 『시민참여 예산제』의 내용에 대하여 알고 있습니까?
(총투표수: 32표)
1.
알고 있다
19표
59%
2.
모르고 있다
13표
41%
문항 15)
귀하는 신분은 어떻게 되십니까?
(총투표수: 32표)
1.
학부모
19표
59%
2.
학생
1표
3%
3.
일반시민
4표
13%
4.
교육관련단체
2표
6%
5.
교직원
6표
19%
문항 16)
광주교육청에서 추진하고 있는 사업들 중에서 축소 내지는 폐지되어야 한다고 하는 생각되는 사업과 사유를 간단히 적어 주십시오.
(총투표수: 32표)
대학생 멘토링 사업- 다문화학생이나 교과 부진아 학생들을 지도함에 있어 교대를 제외한 나머지 대학학생들은 가르치는 사람으로 기본적인 자세와 자질,책임감이 많이 부족한 것 같습니다. 방학동안 학생들이 아르바이트식으로 잠깐 있다 간다는 생각입니다.아이를 몇 년째 맡겨본 저의 경험입니다.
문항 17)
광주교육청에서 추진하고 있는 사업들 중에서 확대 내지는 신설 되어야한다고 하는 생각되는 사업과 사유를 간단히 적어 주십시오.
(총투표수: 32표)
학생들이 학교 수업이 끝난후 방과후학교를 가는데 다른 어떤 기관보다 신뢰감이 생기고 안심하게 됩니다. 방과후학교사업에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들어와서 학생들이 학교라는 안전한 울타리안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특히 강사의 자질과 수준도 고려해 주시고 방과후학교를 관리하시는 분을 두셔서(전담인력?) 지금 현재 처럼 믿고 맡길 수 있는 시스템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학부모 입장에서 친절하게 가장 많이 전화 해주시고 알려주신 분이 전담선생님이라고 하더라구요.
문항 18)
기타 위 설문에서 제시되지 않는 사항에 대한 의견이 있으면 기재하여 주십시오.
(총투표수: 32표)
학부모님들 사이에 방과후학교가 외주화가 될 지도 모른다는 이야기와 묶음형 프로그램이 들어온 다는 설이 있습니다. 제가 2년 정도 ㅈ대학에서 2년 동안 프로그램에 참여해봤는데 시설 좋고 실력은 있는데 가르치는 교수법과 학생들을 이해하는 이해도가 많이 약했습니다. 특히 아쉬웠던 점은 학생들이다 보니 책임감이 부족해서 강사가 2~3개월마다 바뀌어서 저희 아이들이 적응하기 힘들어 했습니다. 아무리 좋은 프로그램도 강사의 자질과 책임감이 없이 운영하는 곳에는 내 아이를 맡기고 싶은 마음이 없습니다. 외주화나, 묶음형 방과후학교는 제 아이가 다니고 있는 학교에서는 없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