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설문참여
  • 설문리스트
  • 설문참여
  • 엑셀출력

설문주제 2017 광주시교육청 예산편성을 위한 설문조사
설문기간 2016/08/25 ~ 2016/09/09 작성자
안녕하십니까?
우리시 교육청에서는 2017년도 교육비특별회계 예산편성에 교육수요자, 광주시민들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 반영하여, 광주교육의 만족도를 높이고 예산 투자방향 및 우선순위에 따른 예산의 적정배분 등 효율적인 교육재정 운영 자료로 삼고자 합니다.
귀하께서 평소 느끼시고 생각하시던 사항을 진솔하게 답해주시기 바라며 제시해주신 의견은 광주교육 예산편성에 소중히 활용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필수는 필수입력사항입니다.

문항 1)
2017년도 교육투자수요가 많아 재원이 부족할 경우 어떤 대책을 마련하는 게 좋을 것으로 생각하십니까? (단일 선택)  (총투표수: 104표)
    • 1.
    • 사업의 우선순위에 의한 가용재원 범위 내 예산편성
    • 62표
    • 60%

    • 2.
    • 사업 조정 또는 축소로 전 사업에 조금씩 재원 분배
    • 33표
    • 32%

    • 3.
    • 지방교육채(부채) 발행을 통한 재원 충당
    • 8표
    • 8%

    • 4.
    • 기타
    • 1표
    • 1%

문항 2)
2017년도 광주교육청이 예산 편성 시 가장 우선하여 예산투입이 되어야 할 분야는 무엇이라 생각하십니까? (2개 복수 선택 가능)(다중선택)  (총투표수: 181표)
    • 1.
    • 학생복지지원 확대(교육격차해소)
    • 45표
    • 25%

    • 2.
    • 학교문화혁신(혁신학교추진 등)
    • 13표
    • 7%

    • 3.
    • 교수학습개선 및 교육력제고
    • 17표
    • 9%

    • 4.
    • 학교폭력예방 및 학생안전강화 분야
    • 28표
    • 15%

    • 5.
    • 단위학교 자율성 확대를 위한 학교운영비 증액
    • 18표
    • 10%

    • 6.
    • 학생 생활교육, 학생자치 및 학부모참여 지원
    • 11표
    • 6%

    • 7.
    • 학교교육여건개선분야(시설확충․노후시설 개선)
    • 49표
    • 27%

문항 3)
학생들의 교육력 제고를 위해 강화되어야 할 사업은 무엇이라 생각하십니까? (2개 복수선택 가능)(다중선택)  (총투표수: 197표)
    • 1.
    • 기초학습 부진학생 특별보충지도
    • 28표
    • 14%

    • 2.
    • 교실수업개선, 교원연수 등 교원역량 강화
    • 31표
    • 16%

    • 3.
    • 단위학교 컨설팅 강화(교 1전문직 책임제 운영, 현장지원단 운영)
    • 6표
    • 3%

    • 4.
    • 학생 맞춤형 온라인 학습 지원(빛고울샘 사이버학습, 사이버학습 콘텐츠 운영)
    • 10표
    • 5%

    • 5.
    • 공교육 정상화, 일반고 교육력 제고를 위한 학력 향상 지원
    • 43표
    • 22%

    • 6.
    • 진로체험‧직업교육 확대
    • 44표
    • 22%

    • 7.
    • 학생동아리활동 활성화(문화예술, 독서, 토론, 특기적성 등)
    • 35표
    • 18%

문항 4)
단위학교 교육활동 중 강화되어야 할 분야는 무엇이라 생각하십니까?(단일 선택)  (총투표수: 105표)
    • 1.
    • 인성교육
    • 68표
    • 65%

    • 2.
    • 교과교육
    • 7표
    • 7%

    • 3.
    • 체험‧봉사활동
    • 13표
    • 12%

    • 4.
    • 진로‧직업교육
    • 17표
    • 16%

문항 5)
계층간 교육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중점 지원되어야 할 분야는 무엇이라 생각하십니까?(2개 복수선택 가능)(다중선택)  (총투표수: 188표)
    • 1.
    • 학비지원(저소득층자녀 학비지원, 특성화고 장학금지원, 교육급여 등)
    • 52표
    • 28%

    • 2.
    • 인터넷통신비 등 정보화교육비 지원
    • 7표
    • 4%

    • 3.
    • 방과후학교 자유수강권 등 방과후활동비 지원
    • 30표
    • 16%

    • 4.
    • 체험학습, 수련활동비 지원
    • 34표
    • 18%

    • 5.
    • 다문화가정 자녀 및 탈북청소년 교육 지원
    • 15표
    • 8%

    • 6.
    • 교육복지우선지원(도시 밀집지역 내 저소득층 학생들의 교육격차 해소)
    • 35표
    • 19%

    • 7.
    • 누리과정지원
    • 15표
    • 8%

문항 6)
각급학교 수익자부담 교육활동 경비 중 교육청의 지원이 가장 필요한 경비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단일 선택)  (총투표수: 104표)
    • 1.
    • 수학여행비
    • 21표
    • 20%

    • 2.
    • 수련활동비
    • 7표
    • 7%

    • 3.
    • 현장체험학습비
    • 37표
    • 36%

    • 4.
    • 졸업앨범제작비
    • 6표
    • 6%

    • 5.
    • 방과후활동비
    • 33표
    • 32%

문항 7)
유아교육의 진흥을 위하여 강화되어야 할 부분은 무엇이라 생각하십니까?(2개 복수선택 가능)(다중선택)  (총투표수: 177표)
    • 1.
    • 교원연수 등 교원역량 강화
    • 30표
    • 17%

    • 2.
    • 유치원교사 처우개선
    • 35표
    • 20%

    • 3.
    • 교재 교구 확충
    • 7표
    • 4%

    • 4.
    • 유아교육비 지원확대
    • 33표
    • 19%

    • 5.
    • 유치원 방과후과정 지원 확대
    • 17표
    • 10%

    • 6.
    • 공립 단설 및 병설 유치원 확대
    • 55표
    • 31%

문항 8)
특수교육 진흥을 위해 강화되어야 할 부분은 무엇이라 생각하십니까?(2개 복수선택 가능)(다중선택)  (총투표수: 192표)
    • 1.
    • 교원연수 등 교원역량강화
    • 22표
    • 11%

    • 2.
    • 특수교육대상자 치료비, 통학차량 등 교육복지 지원
    • 30표
    • 16%

    • 3.
    • 특수교육대상자 종일반 및 방과후 활동비 지원
    • 15표
    • 8%

    • 4.
    •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학교 내 특수학급 확대
    • 16표
    • 8%

    • 5.
    • 특수교육대상자 보조인력 지원
    • 42표
    • 22%

    • 6.
    • 특수교육대상자 진로‧직업교육 강화
    • 37표
    • 19%

    • 7.
    • 장애‧비장애학생 어울림 프로그램 운영(장애학생 통합캠프 등)
    • 30표
    • 16%

문항 9)
안전한 학교 조성을 위해 강화되어야 할 사업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2개 복수선택 가능)(다중선택)  (총투표수: 196표)
    • 1.
    • 초등학생 안심알리미 서비스 운영
    • 22표
    • 11%

    • 2.
    • 상담전문교사제 및 상담교육 운영확대(Wee클래스, Wee센터 운영 등)
    • 28표
    • 14%

    • 3.
    • 학생보호인력 강화(배움터 지킴이 운영)
    • 14표
    • 7%

    • 4.
    • 학교폭력예방 CCTV 설치확대(CCTV통합관제센터 운영, 고화질 CCTV 설치)
    • 49표
    • 25%

    • 5.
    • 학교안전교육 강화(인권 및 인성교육, 학교폭력예방교육, 양성평등 및 성교육 등)
    • 48표
    • 24%

    • 6.
    • 학교폭력 가·피해학생들을 위한 대안교육 및 특별교육 지원
    • 35표
    • 18%

문항 10)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 강화되어야 할 사업은 무엇이라 생각하십니까?(단일 선택)  (총투표수: 103표)
    • 1.
    • 수요자 맟춤형 연수 확대
    • 26표
    • 25%

    • 2.
    • 교과교육연구회 및 학습동아리 활동 지원
    • 24표
    • 23%

    • 3.
    • 학교현장 지원 중심의 컨설팅 장학 확대
    • 21표
    • 20%

    • 4.
    • 교원의 교육행정업무 경감 지원
    • 32표
    • 31%

문항 11)
학교 생활교육, 학교자치 및 학부모참여 지원을 위해 강하되어야 할 사업은 무엇이라 생각하십니까? (2개 복수선택 가능)(다중선택)  (총투표수: 173표)
    • 1.
    • 배움터지킴이 운영 등 학교폭력예방
    • 30표
    • 17%

    • 2.
    • 대안교육 운영 지원
    • 20표
    • 12%

    • 3.
    • 전문상담인력 배치 등 학생상담활동지원
    • 45표
    • 26%

    • 4.
    • 학생자치활동 지원
    • 27표
    • 16%

    • 5.
    • 학부모 및 지역주민이 참여하는 마을공동체 지원
    • 51표
    • 29%

문항 12)
각급학교 시설 중 여건 개선이 가장 시급한 시설은 무엇이라 생각하십니까?(2개 복수선택 가능)(다중선택)  (총투표수: 189표)
    • 1.
    • 화장실, 냉‧난방 등 노후시설 개선
    • 80표
    • 42%

    • 2.
    • 교실 환경 개선(책걸상, 사물함 등)
    • 47표
    • 25%

    • 3.
    • 체육시설 및 어린이 놀이시설
    • 30표
    • 16%

    • 4.
    • 학생 휴게시설
    • 21표
    • 11%

    • 5.
    • 탈의실, 샤워실
    • 11표
    • 6%

문항 13)
교육재정의 관심도를 알아보는 질문입니다. 귀하께서는 현재 광주교육청의 재정현황에 대하여 알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총투표수: 105표)
    • 1.
    • 잘 알고있다
    • 14표
    • 13%

    • 2.
    • 조금 알고있다
    • 48표
    • 46%

    • 3.
    • 모른다
    • 32표
    • 30%

    • 4.
    • 전혀 모른다
    • 9표
    • 9%

    • 5.
    • 관심없다
    • 2표
    • 2%

문항 14)
(“광주교육재정에 대해 알고 있다” 답변시)광주교육재정에 대해 알고 있다면 어떤 경로를 통해 알게 되었습니까?  (총투표수: 75표)
    • 1.
    • 홈페이지
    • 15표
    • 20%

    • 2.
    • 교육청 홍보물(교육소식지 등)
    • 20표
    • 27%

    • 3.
    • 언론매체
    • 23표
    • 31%

    • 4.
    • 기타
    • 17표
    • 23%

※ 시민참여예산제 : 지방자치단체가 독점적으로 행사해 왔던 예산편성과정에 일반 시민 등의 직접 참여를 보장하는 제도
문항 15)
귀하께서는 『시민참여 예산제』의 내용에 대하여 알고 있습니까?  (총투표수: 105표)
    • 1.
    • 잘 알고있다
    • 10표
    • 10%

    • 2.
    • 조금 알고있다
    • 43표
    • 41%

    • 3.
    • 모른다
    • 40표
    • 38%

    • 4.
    • 전혀 모른다
    • 11표
    • 10%

    • 5.
    • 관심없다
    • 1표
    • 1%

문항 16)
귀하는 다음중 어디에 해당되십니까?  (총투표수: 104표)
    • 1.
    • 학부모
    • 56표
    • 54%

    • 2.
    • 학생
    • 2표
    • 2%

    • 3.
    • 일반시민
    • 13표
    • 13%

    • 4.
    • 교육관련단체
    • 1표
    • 1%

    • 5.
    • 교직원
    • 32표
    • 31%

문항 17)
광주교육청에서 추진하고 있는 사업들 중에서 축소 내지는 폐지되어야 한다고 생각되는 사업과 사유를 간단히 적어 주십시오.  (총투표수: 24표)
    • 희망교실은 교육복지사업과 중복된 부분이 많으므로 별도의 예산을 편성하지 말고 희망교실사업의 취지를 살리는 방법으로 교육복지사업비에 포함하여 예산을 집행하도록함(정액금액을 지원하는 부분보다는 한도액을 정하여 필요시 예산을 지원하는 방법이 더 효율적임)
    의견 전체보기
문항 18)
광주교육청에서 추진하고 있는 사업들 중에서 확대 내지는 신설 되어야한다고 생각되는 사업과 사유를 간단히 적어 주십시오.  (총투표수: 41표)
    •  마을 공동체 사업은 시에서 실시하는 사업과 중복 될 소지가
       많으므로  조정 및 축소 필요
    의견 전체보기